본문 바로가기

삼성전자 다시 오르는 이유

경제인플루언서 경제톡 2025. 3. 23.
반응형

삼성전자 다시 오르는 이유
삼성전자 다시 오르는 이유

최근 삼성전자 주가가 다시 반등하고 있습니다.

예전 ‘망한다’는 말이 무색해질 정도인데요.

왜 이런 변화가 생긴 걸까요?

이번엔 모건스탠리의 최신 리포트를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상황을 더 깊이 들여다보겠습니다.

특히 반도체 시장의 회복 흐름과 AI 수요 폭발, 그리고 삼성전자의 전략적 포지셔닝이 어떻게 주가 상승을 이끄는지 초보 투자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삼성전자 다시 오르는 이유?

1. 반도체 시장, 바닥 찍고 천천히 반등 중

반도체 시장은 한때 긴 침체기에 빠졌었죠. 하지만 지금은 점진적인 회복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 과거처럼 ‘V자 반등’은 어렵지만, 완만하게 회복하는 모습입니다.
  • 특히 2025년 2분기부터 DRAM과 NAND 가격이 서서히 개선될 전망입니다.
  • 다만, 2025년 하반기 이후에는 경기 둔화와 미중 무역 이슈가 다시 변수로 떠오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중국발 AI 서버 수요 증가

중국의 클라우드 업체들이 AI 서버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 AI 서버에 들어가는 고성능 D램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DDR5와 HBM(고대역폭 메모리) 제품이 주력입니다.
  • 여기에 AI PC 확산까지 맞물리면서, PC용 D램 탑재 용량이 무려 8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물론 미·중 수출 제한 이슈가 변수이지만, 전반적으로 AI 수요가 메모리 시장의 새 먹거리로 자리 잡는 흐름입니다.

3. DRAM 시장 온기

가격 바닥 찍고 천천히 오르는 중.

  • PC용 DRAM은 2025년 2분기까지 분기별 3~8% 상승이 예상됩니다.
  • 서버 DRAM도 하락폭이 줄어들고, 2분기부터는 보합 내지 소폭 상승 전망입니다.
  • 모바일 DRAM 역시 낙폭이 둔화되면서 점진적인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입니다.

재고도 조절 국면에 들어갑니다. 특히 PC 업체들이 1분기 선제적으로 재고를 확보하면서 시장의 재고 부담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습니다.

4. HBM 경쟁 본격화, 삼성전자의 전략은?

최근 AI 열풍으로 HBM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죠.

SK하이닉스가 1위지만, 삼성전자가 HBM3e·HBM4 생산을 빠르게 늘리며 추격에 나섭니다.

  • 삼성전자는 2025년 하반기부터 HBM3e 대량 생산, 이어서 HBM4로 전환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다만, 너무 빠른 생산 확대는 DRAM 공급 과잉으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 결국 삼성의 생산 전략과 타이밍이 주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점입니다.

5. NAND 시장도 반등 조짐…2분기부터 분위기 달라진다

  • NAND는 아직도 재고 부담이 크지만, 2분기부터 완만한 반등이 예상됩니다.
  • 특히 3D NAND 제품군은 분기별 10~15% 가격 상승 시나리오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 스마트폰과 PC 수요가 변수지만, 고객사들이 가격 바닥에서 재고 확보에 나설 가능성이 큽니다.

삼성전자 실적 전망 대폭 상향과 주가 분석

모건스탠리는 삼성전자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반등 신호가 확실한 상황입니다.

  • 2025년 매출 330.7조 원(+7.4%), 영업이익 40.8조 원(+38.4%)
  • 특히 반도체 부문만 보면 33조 원 수준으로 대폭 상향됐습니다.
  • 목표 주가도 기존 65,000원 에서 70,000원으로 상향했는데요,  AI 반도체, DRAM·NAND 가격 회복 기대감을 반영한 것입니다.

출처 : 네이버. 삼성전자 일봉 챠트
출처 : 네이버. 삼성전자 일봉 챠트

삼성전자 주가는 최근 확실한 바닥권 탈출 후 상승 전환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차트상으로는 2023년 하반기 49,900원 저점을 찍고 반등하기 시작해, 현재 63,700원까지 올라선 모습입니다.

저점 대비 약 27% 반등한 수준으로, 추세 변화의 신호로 해석됩니다.

거래량 분석

최근 거래량이 증가하는 모습이 눈에 띕니다. 특히 상승하는 구간에서 거래량이 동반 증가하며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RSI(상대강도지수) 분석

현재 RSI(14) 지표는 57 수준으로, 과매수 구간에 진입하기 전 단계입니다. 신호선(64)을 하회하고 있지만 우상향 흐름을 유지하고 있어, 아직 상승 여력은 남아 있는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참고로 RSI가 70 이상이면 과매수, 30 이하면 과매도로 판단하는데요.
  • 현재 지수는 상승세를 보여주지만 과열 구간은 아니어서 추가 상승 가능성이 열려 있습니다.

지지와 저항 구간

  • 최근 강한 매물대 구간이었던 60,000원 선을 돌파한 점이 눈에 띕니다. 
  • 다음 주요 저항은 65,000원~68,000원 부근으로 예상됩니다. 여기를 강하게 돌파하면 추가 상승 탄력이 붙을 가능성이 큽니다.
  • 반면, 하락 시 60,000원대가 다시 지지선 역할을 해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세 전환 여부

이번 반등은 이중 바닥(W 패턴) 형태로 저점을 다진 뒤 상승하고 있어 기술적으로 의미 있는 상승 흐름입니다. 중장기 이동평균선과의 데드크로스 구간도 해소되고 있어, 시장에서는 본격적인 추세 전환 가능성을 점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지금은 '망한다'보다 '기회'에 집중해야 할 때

 

삼성전자 투자시에 주의해야 할 점도 분명히 있습니다.

  • 미국과 중국 무역 갈등 심화 시 중국의 메모리 수요가 급감할 수 있고
  • 2025년 하반기 이후 글로벌 경기 둔화가 다시 오면 IT 전방 수요가 줄어들 위험도 큽니다.
  • 무엇보다 HBM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되면, 예상보다 가격 하락 압박이 커질 수도 있습니다.

결국 삼성전자를 둘러싼 '망한다'는 이야기는 과거의 걱정이었을 뿐입니다.

지금은 AI 반도체 시대의 최대 수혜주로 다시 부상하고 있습니다.

  • AI 수요 폭발
  • 반도체 업황 회복
  • HBM 시장 진출
  • DRAM·NAND 가격 반등

단기 변동성은 있겠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좋은 투자 기회가 될 수 있는 시점으로 보입니다.

 

*본 글은 투자 추천이 아닙니다.

개인의 성향과 생각이 다를 수 있습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