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희토류 수출금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인플루언서 경제톡 2025. 4. 14.
반응형

중국의 희토류 수출금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금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2025년 4월,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전격적으로 금지했습니다. 겉으로 보면 한 국가의 무역 정책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세계 산업 전반에 커다란 파장을 몰고 올 결정입니다. 희토류는 전기차, 반도체, 방위산업 등 핵심 기술에 들어가는 전략자원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번 조치가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 대체 공급 가능성은 있는지, 주요국의 대응은 어떠한지 차례대로 살펴보겠습니다.

희토류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요?

희토류는 주기율표에서 란타넘족 원소 15종과 스칸듐, 이트륨을 포함한 17종의 원소를 말합니다. 겉으로 보기엔 드물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각에 꽤 널리 분포돼 있습니다. 문제는 이걸 경제적으로 추출·정제할 수 있는 기술과 인프라가 있다는 겁니다. 이 정제 능력을 전 세계에서 압도적으로 지닌 나라가 바로 중국입니다.

희토류 원소 사진
희토류 원소 사진

중국은 현재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약 60%, 정제 공정의 90% 이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공급만이 아니라 공급의 질과 방향을 결정짓는 결정적인 위치에 서 있는 나라입니다.

산업별 영향: 누가 얼마나 타격을 받을까?

중국이 희토류를 막자, 전 세계 주요 산업이 반응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전기차, 군수산업, 전자제품 등이 큰 영향을 받을 전망입니다.

1. 반도체

반도체 제조 공정 중엔 희토류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웨이퍼를 연마할 때 쓰이는 산화세륨(CeO₂), 고굴절 광학 소재로 쓰이는 란타넘(La) 등이 대표적입니다. 당장 전체 반도체 공정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지만, 공정 안정성과 장비 수급 면에서 불확실성이 커졌습니다.

2. 전기차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영구자석 모터에는 네오디뮴(Nd), 디스프로슘(Dy), 프라세오디뮴(Pr) 같은 희토류가 들어갑니다. 이 자석이 없으면 모터가 커지고 성능이 떨어집니다. 이번 조치로 EV 모터 생산에 차질이 생기면 전기차 가격이 오르거나 출시 일정이 밀릴 가능성이 큽니다.

3. 방위산업

전투기, 유도 미사일, 레이더 등 최첨단 무기 대부분에 희토류가 들어갑니다. 예를 들어 F-35 전투기 한 대에는 약 400kg의 희토류가 들어갑니다. 따라서 이번 조치는 국방 안보 차원에서 미국, 일본, 나토 국가들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4. 전자제품

스마트폰, 노트북, 카메라, 스피커 등 일상 속 전자기기에도 희토류는 광범위하게 들어갑니다. 특히 네오디뮴 자석은 스마트폰 스피커에 필수적이고, 디스플레이에는 유로퓸, 이트륨이 들어갑니다. 수출금지로 인해 전자기기 부품 단가가 올라갈 수 있고, 일부 제품은 부품 수급 문제로 출시 지연도 우려됩니다.

중국 외 공급망: 대체 가능할까?

희토류는 중국만 있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문제는 정제 기술과 공급망 인프라입니다. 현재 중국 외 주요 공급국의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희토류 공급망
희토류 공급망

즉, 희토류는 여러 국가에 있지만, 채굴-정제-수출까지 연결된 공급망은 중국 중심입니다. 미국, 호주, 일본이 투자 확대에 나섰지만, 단기간 내 중국 공백을 완전히 메우긴 어렵습니다.

희토류 가격과 수급 전망

중국의 수출금지 조치 직후 일부 희토류 품목의 국제 시세가 30~50% 급등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일부 품목은 최대 5배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특히 디스프로슘(Dy), 테르븀(Tb) 같은 중희토류는 공급망이 극도로 제한적이라 수급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재고가 소진되면 가격 폭등과 생산 차질이 불가피합니다. 장기적으로는 각국의 공급망 다변화, 희토류 재활용, 대체 기술 개발이 병행되면서 수급이 안정될 수 있지만, 수년이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국 대응 전략

이번 조치 이후, 주요국들은 공급망 재편에 본격 나서고 있습니다.

1. 미국

  • 희토류를 전략 자원으로 지정
  • 국방물자생산법(DPA) 활용해 국내 정제시설 확대
  • 호주, 캐나다와의 협력 강화
  • 국방용 비축분 활용 준비

2. 일본

  • 이미 비슷한 상황(2010년 센카쿠 사태)을 겪은 경험 있음
  • Lynas(호주)와 장기 공급 계약 체결
  • 자국 내 희토류 재활용 산업 확대
  • WTO 제소도 검토 중

3. 유럽연합(EU)

  • 핵심원자재법(CRMA) 본격 가동
  • 역내 채굴·정제 능력 강화
  • 스웨덴 매장지 개발 가속화
  • 캐나다, 호주 등과 다자 공급망 협정 체결 중

4. 대한민국

  • 희토류 포함 핵심 광물 33종 비축 확대
  • 베트남, 호주 등과 자원 외교 강화
  • 부품 다변화 및 재활용 기술 지원 계획

희토류는 경제 무기입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금지 조치는 단순한 무역 규제가 아닙니다. 이는 경제적 무기화 전략으로, 특정 국가의 기술·안보·산업 기반에 충격을 주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 반도체, 방위산업처럼 미래 전략산업에 핵심적인 원소를 장악한 상황에서 공급을 차단하면 글로벌 시장은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앞으로의 관건은 각국이 자립적이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는가입니다. 단기간 내 중국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지만, 지속적인 투자와 국제 협력을 통해 희토류 패권에 도전하려는 움직임은 분명 강화될 것입니다.

 

여기까지 중국의 희토류 수출금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