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이야기221

경제 주식 용어 EPS와 BPS

주식 투자에 처음 발을 들이면 가장 먼저 부딪히는 용어들이 바로 EPS와 BPS입니다. 이 두 개념은 어렵게 느껴지지만, 사실 알고 보면 회사가 돈을 얼마나 잘 벌고 있는지, 그리고 망했을 때 내가 어느 정도 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아주 중요한 지표입니다. 주식 초보자라면 EPS와 BPS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야 내 돈이 들어간 기업의 가치를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를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EPS란 무엇일까? (Earnings Per Share - 주당순이익)먼저 EPS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영어로는 Earnings Per Share, 우리말로는 '주당순이익'이라고 부릅니다. 말 그대로 '주식 한 주당 얼마를 벌었는가'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회사 전체가 벌어들인 순.. 경제이야기 2025. 3. 24.

경제 주식 용어 ROA와 ROE

주식 투자나 기업 분석을 시작하면 반드시 마주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ROA(자산수익률)와 ROE(자기자본이익률)라는 지표입니다.처음 이 용어를 접하면 낯설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두 개념 모두 기업이 돈을 얼마나 잘 버는지, 내 돈을 얼마나 잘 굴리는지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기준입니다.이 포스팅에서는 ROA와 ROE가 무엇인지,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1. ROA (Return on Assets, 자산수익률)란 무엇인가?먼저 ROA부터 살펴보겠습니다. ROA는 한마디로 말해 기업이 보유한 자산을 얼마나 잘 활용해서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기업의 덩치가 커지고 자산이 많아질수록 더 많은 이익을 내야 한다는 뜻이죠.ROA.. 경제이야기 2025. 3. 24.

삼성전자 다시 오르는 이유

최근 삼성전자 주가가 다시 반등하고 있습니다.예전 ‘망한다’는 말이 무색해질 정도인데요.왜 이런 변화가 생긴 걸까요?이번엔 모건스탠리의 최신 리포트를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상황을 더 깊이 들여다보겠습니다.특히 반도체 시장의 회복 흐름과 AI 수요 폭발, 그리고 삼성전자의 전략적 포지셔닝이 어떻게 주가 상승을 이끄는지 초보 투자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삼성전자 다시 오르는 이유?1. 반도체 시장, 바닥 찍고 천천히 반등 중반도체 시장은 한때 긴 침체기에 빠졌었죠. 하지만 지금은 점진적인 회복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는 분석입니다.과거처럼 ‘V자 반등’은 어렵지만, 완만하게 회복하는 모습입니다.특히 2025년 2분기부터 DRAM과 NAND 가격이 서서히 개선될 전망입니다.다만, 2025년.. 경제이야기 2025.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