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패턴 및 예측
2024년 4월, 비트코인의 네 번째 반감기가 지나갔습니다.
사람들은 기대에 찬 눈으로 이번에도 강한 상승장을 바라보고 있죠.
실제로 과거 반감기 이후에는 늘 대규모 상승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상승하고 있고요.
하지만 명언이 있습니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
이번 글에서는
비트코인 상승장이 끝난 이후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트코인의 흐름은 과거와 어떻게 달라질지,
그리고 투자자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를
쉽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과거에도 반복되었던 반감기 이후 하락장, 이번에도 예외일까?
비트코인은 이미 세 번의 반감기를 겪었습니다.
그리고 그때마다 똑같은 패턴이 있었습니다.
먼저, 가격이 빠르게 상승합니다.
그다음에는 급격한 조정이 찾아옵니다.
과거 사례를 보면 이렇습니다.
2013년: 최고점 이후 약 85% 하락
2017년: 약 84% 하락
2021년: 약 77% 하락
이렇게 보면
반감기 이후 상승장은 평균 15개월에서 18개월의 하락장이 이어졌습니다.
사람들의 기대가 커질수록,
반대로 조정의 충격도 더 크게 다가오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왜 하락이 반복될까요?
단순히 가격이 높아졌기 때문일까요?
하락장의 원인은 무엇일까?
상승장은 끝없이 오를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일정 가격에 도달하면 분위기가 바뀝니다.
수익을 실현하려는 투자자들이 등장하고,
신규 투자자들은 가격 부담에 주저하게 됩니다.
그 결과 시장에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납니다.
고점에서 갑자기 대량 매도가 나옵니다.
고래(대량 보유자)가 조용히 자금을 빼기 시작합니다.
전체 거래량이 줄어들고, 분위기도 냉각됩니다.
관심이 줄어들고, 뉴스 보도도 급감합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시장은 점점 조정 국면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오르던 자산이 쉬어가는 구간이 찾아오는 것이죠.
그리고 이런 흐름은 단기간이 아닙니다.
과거를 봤을 때,
보통 1년 이상 길게 이어지는 조정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변화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하락폭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점입니다.
조정은 약해지고 있다? 최근 하락폭이 줄어든 이유
과거에는 비트코인이 고점에서 80% 넘게 하락하는 것이 당연하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위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조정의 폭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2013년 이후 하락폭: 약 -85%
2017년 이후 하락폭: 약 -84%
2021년 이후 하락폭: 약 -77%
물론 여전히 큰 하락이지만,
조금씩 완화되고 있는 것은 분명한 변화입니다.
그렇다면 이유는 무엇일까요?
1. 기관투자자 비중 증가
예전에는 비트코인 시장이 개인 투자자 중심이었습니다.
그러다 급등락이 심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기관들이 참여하면서
과거보다 매도 타이밍과 규모가 더 분산되고 있습니다.
2. 현물 ETF 도입과 유동성 안정화
2024년 미국에서 승인된 비트코인 현물 ETF는
시장의 변동성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ETF를 통해 자금이 천천히 들어오고 빠져나가기 때문에
가격의 급격한 출렁임이 줄어드는 겁니다.
3. 장기 보유자 비중 증가
오랜 시간 동안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졌습니다.
이들은 가격이 내려가도 쉽게 팔지 않습니다.
심지어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마이클세일러는 절대 팔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이런 이유들 덕분에,
앞으로의 조정은 예전처럼 80% 이상 빠지는 게 아니라
30~50% 수준의 완만한 하락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비트코인 상승이 끝나면 자금은 어디로 갈까?
비트코인이 고점을 찍고 상승이 멈추면
시장의 돈은 가만히 있지 않습니다.
다음 기회를 찾아 움직이기 시작하죠.
이 흐름은 보통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1단계: 대형 알트코인으로 이동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리플(XRP) 같은
시가총액 상위 알트코인들로 자금이 흐릅니다.
2단계: 테마형 알트코인 급등
AI, NFT, 게임, 디파이 등
유행하는 주제를 가진 알트코인들이 급등합니다.
이때는 단기 수익을 노린 매수세가 몰려
짧은 시간에 큰 수익과 손실이 동시에 발생합니다.
3단계: 소형 잡코인 펌핑
마지막으로 일부 소형 코인들이 무리하게 가격이 오릅니다.
이 시점은 시장의 버블 후반에 해당하며,
펌핑 이후 급락이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사이클에서는 이 흐름이
예전보다 빨리 나타나거나,
아예 약하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규제가 강화되고 있고,
기관 자금은 검증된 자산만 선택하기 때문입니다.
과거처럼 아무 알트코인이나 사서 10배~100배 상승은
이번에는 없을 수 있습니다.
반감기 이후 투자전략
상승장이 끝났다고 해서
꼭 시장에서 완전히 떠나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이 시기를 잘 활용하면
다음 상승장을 준비하는 절호의 기회가 됩니다.
여기 몇 가지 전략을 소개합니다. 추천드리는 순서대로 적었습니다.
1. 현금 비중 확대(가장 추천 드립니다)
가격이 많이 오른 후에는
일부 비중을 현금화해서
하락장 대비 여유 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자금은 나중에 저점 매수의 기반이 됩니다.
2. 장기 분할 매수 전략
하락이 시작되면 너무 서두르지 말고,
시간을 나눠서 천천히 매수하는 전략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매달 조금씩 사들이는 방법이 대표적입니다.
3. 온체인 지표 활용
거래소 입출금량 같은 지표를 보면
시장 심리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지표들을 활용하면 바닥 근처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쉽지 않습니다.
4. 수익형 상품 병행
하락장 동안은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예치 상품이나 파밍 수익을 병행해
자산을 놀리지 않고 굴릴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USDT 예치, ETH 스테이킹 등이 있습니다.
이런 전략을 미리 준비해두면,
하락장에도 흔들리지 않고
다음 기회를 잡을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비트코인 반감기는
언제나 강한 상승장을 이끌었습니다.
하지만 강한 상승장이후에
춥고 추운 겨울이 다가올 가능성이 큽니다.
상승 끝까지 먹는것 보다는
짧게 짧게 익절 하는것도 좋은 방법이지요.
또한, 과거와 다르게,
이번 사이클은 ETF와 기관자금의 유입,
규제 환경의 변화로
코인의 가격 하락폭이 예전과는 다르게 전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모두 오래오래 살아 남읍시다. 성공 투자 하십시오.
이상으로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패턴 및 예측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본 글은 투자 추천이 아닙니다.
개인의 성향과 생각이 다를 수 있습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경제이야기 >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베이스 S&P 500 편입 이유와 향후 전망은? (2) | 2025.05.13 |
---|---|
메타플래닛 비트코인 보유량 급증 21,000 BTC까지 노린다 (0) | 2025.05.12 |
비트코인 반감기란? 2025년 비트코인 가격 예측 (1) | 2025.05.10 |
이더리움 5월 전망 및 챠트 분석, 그리고 지금 들어가도 될까? (4) | 2025.05.09 |
코인베이스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와 데리빗 인수, 주가는 왜 하락했을까? (2) | 2025.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