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5월 예상, 이번엔 조심해야 하는 이유
요즘 미국 주식이 무섭게 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S&P 500은 무려 9일 연속으로 올랐죠.
이런 분위기만 보면 앞으로도 계속 오를 것 같지만,
지금이 오히려 조심해야 할 시기라는 말도 많습니다.
2025년 5월에 있을 FOMC 회의가
그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 발표된 미국 물가 지표와 주식시장 흐름을 함께 살펴보며
왜 지금이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순간인지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3월 물가 지표, 생각보다 괜찮았지만 안심은 이르다.
미국 정부는 매달 PCE라는 물가 지표를 발표합니다.
이건 우리가 장을 볼 때 가격이 얼마나 올랐는지를 보는 자료입니다.
2025년 3월 기준으로 PCE는 작년보다 2.8% 올랐습니다.
원래는 2.9%쯤 오를 거라고 예상했는데, 그보다 조금 낮게 나온 거예요.
처음 보면 좋은 뉴스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물가가 생각보다 덜 올랐다는 뜻이니까요.
그런데 여기엔 함정이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3월 상황까지만 담고 있어요.
최근에 국제유가가 다시 오르고 있어서
앞으로는 물가가 더 오를 수도 있습니다.
또 하나 중요한 건, 미국 사람들 소비가 여전히 많다는 점입니다.
돈을 계속 쓰고 있으니, 물가가 다시 튈 가능성도 있는 거죠.
이런 상황을 보면,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리기엔 아직 이르다는 말이 나옵니다.
S&P 500의 9일 연속 상승, 좋은 신호일까?
요즘 미국 주식이 정말 잘 나갑니다.
특히 S&P 500은 9일 연속으로 올랐습니다.
이런 일은 정말 드물게 일어나는 일이에요.
실제로 이런 흐름은 전체 시장 역사에서
단 0.25% 확률로만 나타난다고 합니다.
처음엔 기분 좋은 뉴스처럼 보이죠.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런 흐름을 오히려 경고 신호로 보기도 합니다.
왜일까요?
과거에도 이렇게 주가가 갑자기 계속 오른 뒤
큰 폭락이 찾아왔던 경우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987년과 2000년대 초반 같은 때도
비슷한 흐름이 나온 후에 주가가 크게 무너졌습니다.
이번에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FOMC 5월 회의 예상
FOMC는 미국 중앙은행이 열어
앞으로 금리를 어떻게 할지를 결정하는 회의입니다.
2025년 5월 회의에선
금리를 그대로 둘 거라는 예상이 많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건 숫자가 아니라
회의가 끝나고 나오는 기자회견에서
연준이 어떤 톤으로 이야기하느냐가 훨씬 중요하죠.
예를 들어,
"지금은 괜찮지만, 다시 금리를 올릴 수도 있어요"
이런 식의 발언만 나와도
주식시장은 깜짝 놀라며 흔들릴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주가가 많이 오른 상황에선
작은 말 한마디가 큰 파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은 신중해야 할 시기일지도 모릅니다
주가가 계속 오르니까
지금이 투자 기회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때일수록
오히려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리스크 관리에 더 신경 써야 합니다.
최근 상승은 기술주 중심의 급등에 가까운데
이런 상승은 오래 가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지금 시장은 기대감이 너무 커졌고,
작은 뉴스에도 크게 흔들릴 수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이번 FOMC를 단순한 이벤트로 보지 말고,
시장이 새로운 방향으로 갈 수 있는
중요한 시점으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한눈에 보는 투자 포인트, 지금 뭘 해야 할까?
요즘처럼 주식시장이 많이 오르면
무작정 따라 들어가고 싶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몇 가지 중요한 점을 다시 정리해보는 게 좋습니다.
첫째, 지금은 과열일 수 있습니다.
S&P 500이 9일 연속 오르는 건 정말 드문 일입니다.
과거에도 이런 흐름 다음에는 조정이 왔던 적이 많습니다.
둘째, 물가 지표는 좋아 보여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3월 PCE는 예상보다 낮게 나왔지만
유가나 소비자 지출을 보면 다시 오를 가능성도 큽니다.
셋째, 연준의 말 한마디가 시장을 흔들 수 있습니다.
금리 자체보다 기자회견에서 나오는 늬앙스가 더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금리를 올릴 수 있다라는 뉘앙스만 나와도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넷째, 투자 전략은 보수적으로 가져가는 게 좋습니다.
지금은 기대가 너무 커진 상태라
실제 기업 실적이 그만큼 못 따라오면 실망 매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지금은 공격보다 방어가 중요한 시기입니다.
기회를 노리기보다는
위험을 피하는 것이 더 중요한 순간입니다.
저는 테슬라2배 레버리지와 스트래티지2배 레버리지를 보유 중이고,
크게 이익을 보고 있습니다.
이번주 초에 60~70% 를 매도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방식을 취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FOMC 5월 예상, 이번엔 조심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본 글은 투자 추천이 아닙니다.
개인의 성향과 생각이 다를 수 있습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란티어 실적발표 Q1 2025 분석과 하락 이유는? (1) | 2025.05.07 |
---|---|
힘스 앤 허스 뭐하는 회사인가? 상승 이유와 주가 전망 (0) | 2025.05.07 |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 2025 요약 (8) | 2025.05.04 |
FOMC 뜻 경제초보도 완벽하게 이해하기 (4) | 2025.05.03 |
스탠리 드러켄밀러 투자 전략, 왜 특별한가? (5) | 2025.05.02 |
댓글